170329 magazine m 任时完 拍王爱时期4天只睡了4小时???
[매거진M] '원라인' 임시완, 꽃 같은 얼굴 뒤의 진중함

“사이즈 나오지? 순박하고 맑고 투명한데, 적당하게 샤프하고.” 극 초반, 장 과장 일당의 사무실로 대학생 민재를 데려온 홍 대리(김선영)가 그의 외모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런 상황이 처음이라는 듯 다소 어수룩해 보이면서도 눈빛만큼은 또랑또랑한 민재의 얼굴에 딱 맞아떨어지는 표현이다.

그러나 속지 마시길. 그 말은 곧 뒤집힌다. 장 과장의 전략대로, 회사원처럼 꾸미고 ‘직장인 신용 담보 대출’을 받기 위해 은행원 앞에 앉은 민재가 그 순박한 얼굴로 입을 뗀다. 어라, “미인”이라느니 “비율이 좋다”느니 은행원의 정신을 빼놓는 솜씨가 탁월하다. 적당히 능청맞게 굴면서도 순박하고 자연스러운 태도가 돋보인달까. 한마디로 민재는, 아니 임시완(28)은 첫인상의 ‘사이즈’를 훌쩍 벗어나는 사람이다.

“양경모 감독님의 전략이었다. 민재의 본색을 드러내는 장면에서, 임시완이 지닌 순진한 이미지를 바탕에 깔고 그 반전을 노리자는.” 그 말대로다. ‘원라인’의 민재는 TV 드라마 ‘해를 품은 달’(2012, MBC)의 어린 허염, 영화 ‘변호인’(2013, 양우석 감독)의 진우, TV 드라마 ‘미생’(2014, tvN)의 장그래 등 지금껏 그가 선보인 선하고 성실한 인물들과 다르다. 임시완이란 사람 자체가 그의 대표작 캐릭터들처럼 순수하고 강직할 거라 짐작한 관객에게 이 영화는 기분 좋은 충격을 안긴다. 그건 그 자신에게도 어느 정도 들어맞는 이야기다.

“착하고 우직한 인물을 연기할 때는, 나도 내가 그런 사람에 가깝다고 믿었다. 그런데 ‘원라인’의 민재를 연기하면서 알게 됐다. 캐릭터가 본래의 나를 따라오는 게 아니더라. 오히려 반대다. 어떤 작품에서 어떤 캐릭터를 만나느냐에 따라 내 성격이 바뀐다. 그래서 더 궁금해졌다. 앞으로 난 어떤 작품을 만나, 그에 따라 어떤 사람이 될까.” 그 순간, 진지하던 임시완이 장난기 가득한 얼굴로 농담을 던진다. “그만큼 줏대가 없다는 거지. 귀가 얇다고 할까. 하하하.” 그래도 쉽게 변하지 않는, 그만의 성격 같은 것이 있지 않을까. “글쎄, 다른 사람들의 말을 빌려 표현하자면, ‘진중하다’는 것 아닐까.” 거기에 ‘유쾌한’이라는 수식어를 붙이면 어떨까. ‘유쾌한 진중함’. 적어도 ‘원라인’ 언론시사 직후 만난 임시완은 그랬다. 곧 방영 예정인 TV 드라마 ‘왕은 사랑한다’(MBC)를 찍느라, 나흘 동안 네 시간밖에 못 잔 상황이었는데도 말이다.

‘원라인’ 전과 후, 그가 연기하는 캐릭터의 성격만 달라진 게 아니다. 임시완은 이 영화의 촬영장에서 ‘연기를 대하는 다른 태도’가 있음을 깨달았다. “예전에는 연기를 ‘즐기지’ 못했던 것 같다. ‘해를 품은 달’ ‘변호인’ ‘미생’ 같은 작품들에 대한 반응이 워낙 좋지 않았나. 내 연기에 대해서도 사람들이 ‘생각보다 잘하네’라고 말해 주니까, ‘아, 고생한 대가를 이렇게 받는구나’ 느꼈다. 그래서 연기는 더더욱 힘들게, 뼈를 깎는 고통을 견뎌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원라인’을 찍으면서 ‘연기하는 순간 자체가 즐거울 수 있다’는 걸 알게 됐다. 민재가 대출 사기 의뢰인을 위로하는 장면처럼, 주어진 대사 없이 어떤 상황 속에서 직접 무언가를 만들어 가며 연기한 것은 처음이었다.”

개성 넘치는 연기를 보여 준 배우들과 함께한 경험도 소중하고 즐거운 기억으로 남았다. “특히 위조 전문가 송 차장 역의 (이)동휘 형을 보면서 많이 배웠다. 동휘 형은 촬영장의 모든 요소를 연기에 활용한다. 그래서 더 ‘살아 있는’ 연기를 하는 것 같다. 그건 이전의 내가 전혀 몰랐던 부분이었다.”

임시완은 ‘원라인’에서 선보인 다양한 얼굴 가운데 “민재가 사기 대출계에 몸담은 지 1년쯤 지나, 나쁜 물도 들고 타성에 젖은 모습”을 가장 새로운 것이라 꼽는다. “예전에는 그런 모습을 보여 줄 기회가 없었으니까.” 민재의 그 얼굴이 “커다란 변화처럼 느껴지는 동시에, 그 모든 감정이 ‘진짜’처럼 느껴지는지” 끊임없이 고민했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연기와 사기엔 비슷한 구석이 있는 것 같다. 제일 중요한 점은 ‘진짜처럼 보이느냐, 가짜처럼 보이느냐’다. 그 다음은 ‘그것이 매력적으로 느껴지느냐, 그렇지 않느냐’가 성공 여부를 판가름한다. 그런 점에서 연기와 사기는 닮았다.”

더 큰 욕망에 사로잡힌 순간부터 민재는 “자제할 줄 모르면 인간처럼 안 보일 때가 있다”던 장 과장의 말을 턱 끝으로 느끼기 시작한다. “사실 세상 모든 일, 결국 살아가는 것 자체가 ‘정도의 차이’, 그 균형에 달린 것 같다.” 맞는 말이다. 그렇다면 연기에 있어 임시완이 느끼는 ‘정도’와 ‘균형’은 무엇일까. “‘이 장면에서 내가 돋보여야 해’라는 생각으로 과하게 연기해서도 안 되고, ‘과하면 안 돼’라는 생각 때문에 소극적으로 연기해서도 안 된다. 그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서 끊임없이 균형을 잡아야지.” 앞으로 더 큰 욕망에 눈이 먼 나머지, 그가 연기의 ‘정도’와 ‘균형’을 깨뜨리는 일은 쉽게 생기지 않을 듯하다.

“‘해를 품은 달’로 연기를 시작할 때 품었던 꿈은 이미 다 이뤄졌다. 그때 ‘연기를 계속하면 좋겠다’고 생각했거든. 지금 새로운 포부를 하나 더 갖는다면, 조금 추상적이지만 ‘좋은 작품을 계속했으면 좋겠다’는 것 아닐까. 그럼 그 안에서 온갖 변화를 꾀할 수 있을 테고, 그만큼 나도 더 다양한 모습을 지닌 사람이 될 테니 얼마나 좋겠나. 그보다 큰 꿈이 있을까.”

170322 vogue 2017 4月号 卷毛 性感脚踝
몸속이 투명하게 비쳐 보일 정도로 순수한 눈빛, 로맨스를 부르는 중저음 목소리, 전체 그림을 보기 때문에 배어 나오는 매너까지. 사기꾼의 ‘필요충분매력’을 두루 갖춘 두 남자, 진구와 임시완의 퍼펙트 게임.

드라마 <왕은 사랑한다>를 촬영하느라 문경, 속초, 안동, 마산 등지에서 목격되었던 임시완은 거짓말처럼 역삼동 한복판 스튜디오에 등장해 곱게 머리를 말고 있었고, 전날 제작 보고회에서 달콤한 ‘슈가남’ 이미지를 풍기던 진구는 하룻밤 사이 헤어스타일이 곱슬곱슬해졌다. 어제 만나놓고 오랜만이라며 어깨를 두드리던 진구에게 임시완은 “형님, 머리 스타일 바뀌셨네요?”라고 인사를 건넸고 진구는 “너도 바꿨잖아”라고 인사를 받았다.

진구와 임시완의 손발이 착착 맞을수록 빛날 영화는 <원라인>이다. 이들은 사기계의 멘토와 멘티로 출발해 완벽한 한 팀을 이룬다. 임시완은 돈 없는 대학생에서 사기계의 샛별로 떠오르고, 진구는 작업 대출계의 베테랑으로 진면목을 보여준다. 반질반질한 뱀이 임시완이라면, 능수능란한 능구렁이는 진구다. 예고편에서 진구는 <태양의 후예>에서 김지원에게 “너한테서 도망쳤던 모든 시간들을 후회했겠지”라고 말할 때보다 조금 더 진정성 있는 눈빛으로 말한다. “은행에서 돈 받게 도와주는 게 내 ‘잡’이야, 이게 중요한 표현이다. 도.와.준.다.” 임시완은 한술 더 뜬다. <미생>에서 이성민에게 “그래서 저는 꽃밭을 걷고 있나 봅니다”라며 꽃미소를 지었을 때보다 조금 더 싱그럽게 말한다. “제가 주는 대본대로만 하면 ‘돈’이 나옵니다”라고. 전작의 여운으로 여전히 그들의 얼굴로부터 묵묵한 사랑을 하는 남자와 미완의 청년을 읽고 있는 관객에게 씨익 웃으며 선언하는 셈이다. 작품으로 빚어진 배우의 이미지를 순순히 믿지 말라고 말이다.

“변신을 위한 선택은 아니에요. 그냥 대본을 봤을 때 그때그때 흥미로운 지점이 있었어요. 그 당시에 저를 자극하는 뭔가가 있었고 그 지점을 선택해왔던 것 같아요.” 임시완이 영화 <오빠생각> 이후 개봉을 앞두고 있거나 촬영 중인 작품은 셋이다. “<원라인>은 재기 발랄한 느낌이 있어서 마음에 들었어요. <불한당>은 자주 사용된 소재여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에 따라 재미있겠다, 참신해 보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감독님이 그 키를 갖고 계실 것 같은 확신이 있었죠. <왕은 사랑한다>의 경우는 윤아가 상대역이라는 점이 많이 컸습니다.(웃음)”

<미생> 이후 여러 작품이라는 선택지를 쥐게 되었지만, 부산대 공대생 선배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변호인> 진우 역할은 자신이 꼭 해야 한다고 양우석 감독에게 고집을 피웠다던 임시완은 조금도 달라지지 않은 듯 보였다. “제가 앞머리를 올렸을 때랑 내렸을 때 이미지가 많이 다르거든요. 변화의 폭이 넓어서 효용 가치가 큽니다. ‘실용성이 있는 배우’로 보이지 않았을까요?” ‘회사가 시켜서’ 작품을 했다며 너스레를 떨던 진구는 양경모 감독 얘길 꺼냈다. “첫인상이 워낙 좋았어요. 학자 스타일인데 이상하게 말이 진짜 잘 통하는 거예요. 글이 좋든 나쁘든, 영화 질이 높건 낮건 이 사람하고 3개월 동안 같이 놀고 싶다는 생각으로 들어갔어요. 알고 보니 K대 의대 출신이더라고요.(웃음)” 진구의 첫인상은 틀리지 않았다. “굉장히 설명 조인데 잔소리가 아니라 정말 좋은 말씀을 듣는 느낌이었어요. 디렉션이 정확하니까 연기할 때도 도움이 많이 됐죠. 날이 갈수록 새로운 발견이었습니다. 아직도 사랑합니다.”

젠틀하고 매너 있게 사기 치기 위해 극 중에서는 수백 번씩 시뮬레이션을 돌렸겠지만, 배우들이 연기하는 데 있어 치밀한 계산 과정은 없었다. “앞서 캐릭터랑 달라야겠다는 생각을 의도적으로 하지 않았어요. 위험한 생각일 수도 있겠지만 기존에 맡았던 캐릭터와 크게 차이가 없어 보일 정도로 경계선을 두지 않았어요. 처음에는 나만 잘하면 되겠구나 생각했다가 그 생각조차 자연스럽게 녹아내렸던 것 같아요.” 힘들었던 점을 묻는 질문에 임시완은 고개를 저었다. 일상과 연기에 경계를 크게 두지 않는 편이라, <원라인>을 촬영할 때는 오히려 사람들과 더 쉽게 친해지고, 더 많이 어울렸단다. “캐릭터에 대해서 진짜 얘기를 많이 했어요. 부모님과 함께 있는 장면이 있는데, 그때 민재가 진짜 모습이겠다 싶더라고요. 엄마가 용돈 하라고 만원인가 2만원인가 쥐여주는 장면이 있어요. 처음에는 차마 그 돈을 못 쓰고 들고 가는 설정이었는데, 들고 가는 척하면서 엄마, 아빠 옷에 넣어주는 게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어요. 감독님께 제안을 드렸고 결국 그렇게 갔던 거 같아요. 마냥 나쁘기 위해 나쁜 짓을 하는 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냥 그렇게, 그렇게 캐릭터를 만들어갔던 것 같아요.” 대학생 민재가 사기의 길로 들어선 건 천성이 악해서가 아니다. 돈으로 겪게 되는 문제는 타고난 환경과 사회에서 시작된다. “학생 때는 진짜 돈이 없잖아요. 용돈 받아 쓰거나 아르바이트 해서 쓰거나. 그래 봐야 얼마나 되겠어요. 돌이켜보면 저도 학교 앞에서 1,000원짜리 토스트, 짜장면으로 한 끼를 자주 때웠어요. 맥주는 정말 고급 술이었죠. 항상 소주만 마시고. 안주 많이 축내면 친구들끼리 경계를 했죠.”

진구 역시 연기에 대해 긴 설명을 덧붙이지 않았다. “감독님이 ‘그냥 진구 너 알아서 해’라고 자유를 주셨어요. 평소 제가 쓰던 말투, 걸음걸이, 손버릇 그런 외적인 부분이 많이 분출된 영화예요.” 사기 칠 때 가장 거짓과 꾸밈이 없는 모습이어야 하기에 본연의 모습이 드러나는 역설. <해를 품은 달> 이후 처음으로 잘난 외모를 있는 그대로 뽐낸 임시완의 사기 필수품 역시 ‘세상 물정 모를 것 같은 순수한 눈망울’이란다. 평소 제스처까지 캐릭터에 ‘탈탈’ 털어낸 진구를 두고 양경모 감독은 “스펀지 같은 배우예요. 하나를 이야기하면 쫙 빨아들여서 내뱉어줄 수 있는 배우”라며 뒤에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사람마다 색깔이 있다면, 나에게 진구는 거칠고 투박한 다갈색을 띤 배우였다. <달콤한 인생>부터 <비열한 거리> <마더> <26년> <명량> <연평해전>까지 그가 연기한 인물들의 잔상이 쌓인 빛깔일 것이다. 인류를 성징에 따라 일렬로 쭉 세웠을 때 남자 쪽 끝에 서 있을 것만 같은 사람. 조물주가 인간을 빚으며 처음 만들어냈을 것 같은 남자 1호. 원초적인 흡입력을 타고난 배우는 심장 끝에서 길어 올린 날것의 감정을 스크린으로 날라오곤 했다. 주연 혹은 조연 같은 역할의 크기는 의식한 적이 없었다. 진구는 흘러가는 서사의 한쪽을 늘 묵묵하고 단단하게 지키고 있었다. 물론 다 <태양의 후예> 전까지 얘기다. “잘된 작품이 거의 다 무거웠죠. 스스로는 무거운 쪽이 더 잘 맞긴 해요. 가벼운 역할을 피하는 건 아닌데 보는 분들도 아직까진 제가 무거운 역할을 하는 걸 편하게 여기는 것 같아요. 제가 잘하는 거니까. 말하자면 박인비 선수가 쇼트트랙을 한다 그러면 처음에 기대는 하겠지만 맨날 꼴등 하면 다음 대회부터는 안 볼 거 아니에요. 다시 골프 필드로 돌아갔을 때 TV를 켜겠지. 그런 거예요.(웃음)” <태양의 후예>로 진구는 제2의 전성기를 맞이했지만 사실 내가 진구를 다시 보게 된 건 그로부터 1년 전 ‘SNL’에 출연했을 때였다. 도라에몽 노진구, 여진구, 부산진구를 이글이글 질투하는 진구는 정말이지 너무 웃겼다. 도라에몽 노진구, 여진구, 부산진구를 인정한 배우라면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받아도 한결같으리라는 믿음이 생겼다.

“세상을 보는 눈이 바뀌었다고 할까요? ‘내가 아무리 열심히 해도 안되는 건 안 돼’와 ‘내가 열심히 안 해도 될 건 돼’가 함께 있어요. 물론 노력하죠. 하지만 신인 때처럼 어떤 트레이닝을 하면서 갇혀 살고 싶지 않아요. 제 배우 생활이 청년기와 장년기로 바뀌는 전환점은 <마더>예요. 최고 톱스타 원빈 선배와 최고 베테랑 연기자 김혜자 선배, 최고의 감독 봉준호, 이런 사람들과 함께 일하면서 행복한 줄도 모르고 나만 생각했어요. ‘나 오늘 잘했나? 저 사람들한테 뒤지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되지?’ 그런데 봉준호 감독님이 ‘그럴 필요 없어. 그냥 천천히 해도 너는 따라올 수 있어. 천천히 와’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렇게 했더니 그해 영화 시상식에서 조연상이란 조연상은 다 제가 받았어요. <비열한 거리> 때 노미네이트만 되고 떨어진 후로 낭패감에 상‘ 에 연연해 하지 말자’ 했는데. 정말 내 뜻대로 되는 게 없구나. 그다음부터 진짜 아무것도 안 했어요.” 아무것도 안한다는 건 몸과 마음을 백지장으로 만든다는 얘길 것이다. “예전에는 사기꾼이니까 말투를 이렇게 해야 돼, 소품은 안경을 써야 돼 같은 게 있었어요. 하지만 아무것도 안 하니 정말 편해졌어요. 지금은 어떤 옷을 입혀줘도 내 옷 같고 감독님이 손‘ 가락을 이렇게 해’ 했을 때 그 손가락이 정말 제 손가락이 되더라고요.” 비워낸 자에게 기회는 부지불식간에 찾아온다. 얼마 전, 그에게는 미니시리즈 <불야성>의 주인공 자리가 찾아왔다. 지금 받고 싶은 제안이 있다면 과거 작업했던 감독들과 재작업이다. “함께 했던 감독님들과 한 번씩만 더 찍어보고 싶어요. 나의 달라진 모습, 더 좋아진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요. 그때는 몰랐던 것들을 그분들한테 더 배우고 싶습니다.” 기회는 언제 또 어떤 얼굴로 찾아올지 모른다.

연기라고는 배운 적 없기에 백지장을 만들 필요도 없는 임시완은 또 어떤가. 연기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백지연의 피플 인사이드>에 출연했던 그는 도대체 어떻게 연기를 하느냐는 질문에 잘 모르겠다고, 무식하니까 용감한 것 같다며 머리를 긁적였다. 그의 첫 두 작품 <해를 품은 달> <적도의 남자>는 모두 아역이었다. 단 2부작이었지만 지질한 남자의 역사를 새로 썼던 <연애를 기대해>, 청춘의 자화상으로 남은 <변호인> <미생>, 비로소 어른이라는 이름으로 아이들 앞에 섰던 <오빠생각>까지. 그는 마치 한발 늦게 들어선 작품이라는 세상 속에서 캐릭터와 함께 2배속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만 같았다. 물론 재벌가 같은 비현실적 설정을 통과하지 않은 덕분도 있을 것이다. 가만가만 감정을 눌러 담아 삼키는 그의 얼굴은 처연할 때도 있었지만, 전 세계가 정전이 되어도 홀로 빛날 것만 같은 두 눈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믿게 만들었다. 반짝이는 건 언제나 마음을 움직이는 법이다. 사람들이 임시완에게 공감하게 된 건, 마음 깊숙한 곳에 비관보단 긍정을 바라는 마음이 자리하기 때문일 것이다. 윤태호 작가는 임시완을 두고 “보지 않아도 되는 지점을 보고 있는 듯한 성숙한 청춘”이라 말했다는데, 비범하게 잘생겨도 한 세대를 대변하는 얼굴이 될 수 있음을, 완벽한 자도 미완을 상징할 수 있음을 임시완은 보여줬다. 대학생이 되면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어른들의 말에 속아 공부만 했던 학창 시절을 지나, 가수로 데뷔했지만 춤으로도 노래로도 부각되지 못했던 청년은 비로소 배우라는 선명한 자아를 얻게 됐다. “연기는 지금 내 인생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어요. 할 줄 아는 게, 밥벌이가 이거밖에 없는 거죠.” 지금, 연기에 임하고 있는 임시완의 진짜 마음이다.

#姜娜延[超话]#[浮云]#姜娜言# [浮云]#姜娜延#

20230612『INS更新』

2022.04~ 2022.12.21
작년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모두 함께한 #구미호뎐1938

한창 학기 중에 지방 촬영 다니면서 학교 생활 병행하며 정신 없었던 때에 최고의 동료이자 이제는 소울메이트가 된 .. 사랑하는 매난국죽 덕에 매번 즐겁고 행복하게 촬영할 수 있었고, 또 존경하는 선배님들 옆에서 많이 배웠습니다!
소중한 인연과 배움, 경험 잔뜩 얻고 가는 구미호뎐 안녕!
나의 22살이 담긴 국희도 안녕
그동한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든 분들 고생많으셨습니다


发布     👍 0 举报 写留言 🖊   
✋热门推荐
  • 你期待神要赐给你的东西,你带着一个极大的热情期待。有些人,不能看到他预言话语的呈现,是因为他对神没有期待,没有期待神让任何事发生。
  • 我在画的那端,缱绻一湾思念,你在画的这端,晕染四季安然。依廊远望蔚蓝的天,缱绻着这五月的时光。
  • 【《猎天使魔女》贝姐COS赏 不穿衣服算得上神还原】对于不少绅士玩家来说,《猎天使魔女》系列中的贝姐绝对是女神级的存在,的确贝姐从骨子里散发出的“骚气”是很难在
  • 淋九味酱的“铁板酱汁茄”量足油大。今年格外简单了些只烧了个醋鱼扒拉了一盘西芹肉丝烹了几只油焖大虾油淋了个蟠龙线茄连红酒都懒得准备高脚杯了其实这个磨花氟蚀的口杯顶
  • 2、假体填充假体填充材料主要是硅胶与膨体,二者对中重度鼻基底凹陷的改善程度都较大且长久。整体来看,鼻基底与上下颌、下颏的关系是相呼应的,须正畸正颌的建议先进行颌
  • !不过见到大老师也让我嫉妒,哼~~~还非常认真的讨论了一下明天要不要去蹲守,最后理智战胜了激动,决定还是好好守着等电视吧。
  • 一直是一个不会面对离别的人,幸好今天有朋友在身边,他告诉我,我理解你的难过,但走出来的最好方法是寻找生活中新的幸福支点。 “谢谢两位白衣天使给予我帮助,我特别开
  • 他们是我唯二的男神,所以借此情人节,说声我爱你们青哥和大宇,我爱青宇,也爱所有的杯杯儿。爱你们,永远~#青宇[超话]##今天老王发微博了吗# 发了发了[哈哈],
  • 这样临近夏天的傍晚或者清晨都真是舒服的,空气凉爽,草尖上会挂着露水(细蛛网上也挂着露水)。书读到这里,衣裙随着春末温柔的风在阳光下缥缈,一颗鸡头米,软糯入口,在
  • 好久好久好久没看电影了(˵¯͒⌢͗¯͒˵)我真的真的什么时候才有空可以去看电影吖感慨--我的微博现在就是我的朋友⭕ 发朋友圈领导太多还要屏蔽都不敢发了以前可是从
  • 「安年推文」[心][心][心]#安年推文[超话]# 《和尚他君临天下了》作者:暮阿洋文案:  姜卿儿媚骨天成,天姿国色,是扬州坊间最为善舞的清妓,一舞名动天下,
  • 摄影师肩颈不好,去医院拍片子看医生,后来做过理疗按摩,日常就在办公室用这个按摩仪。。
  • 今天下了一天的大雨,晚上听不到外面雨声了,就透过窗外看天空,透过微弱的月光可以看到☁️是一朵一朵的那种很漂亮,满心欢喜以为明天可以看到向往的天空,可洗完澡出来发
  • 八字中财星生官星,说明命主会经常与有钱人和有地位的人士交往,印星为生身之神,赐予自己能量之神。财星多或旺,官星紧贴日主,财星可以生官星,官星又能起到保护财星的作
  • 顶部带有电子计数器,可以根据已过滤的水量、使用时间,以及水的硬度来显示滤芯状态,做出是否更换滤芯提示。顶部带有电子计数器,可以根据已过滤的水量、使用时间,以及水
  • 在苦的日子……脸上都会洋溢着灿烂的笑容!在苦的日子……脸上都会洋溢着灿烂的笑容!
  • 全国共有30家连锁医院医院下设整形美容、皮肤美容、无创美容、口腔美容四大中心、斥资引进全球前沿的医疗设备,并拥有权威医师团队,长期与中、韩、日、美、法等全球顶级
  • [哈哈]#足球# #英超[超话]# ...全文: @""这几天发生了很多事 心情不知道怎么形容 也不知道这件事最后的结果会是如何 [悲伤
  • 可我希望我可以是你遇到痛苦第一个想倾诉的人;是你遇到快乐第一个想分享的人;是你遇到挫折第一个想能依靠的人;是你今生以后第一个可以相伴的人。有一天,你不知道是什么
  • 我们的一生,大多数都成为了默默无闻的台阶,即便我们也憧憬被锻造成佛,可究竟谁的意义更大呢,更深远呢,佛说一切皆为注定,我不嘲笑别人,别人也会坦然面对,只是让我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