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329 magazine m 任时完 拍王爱时期4天只睡了4小时???
[매거진M] '원라인' 임시완, 꽃 같은 얼굴 뒤의 진중함

“사이즈 나오지? 순박하고 맑고 투명한데, 적당하게 샤프하고.” 극 초반, 장 과장 일당의 사무실로 대학생 민재를 데려온 홍 대리(김선영)가 그의 외모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런 상황이 처음이라는 듯 다소 어수룩해 보이면서도 눈빛만큼은 또랑또랑한 민재의 얼굴에 딱 맞아떨어지는 표현이다.

그러나 속지 마시길. 그 말은 곧 뒤집힌다. 장 과장의 전략대로, 회사원처럼 꾸미고 ‘직장인 신용 담보 대출’을 받기 위해 은행원 앞에 앉은 민재가 그 순박한 얼굴로 입을 뗀다. 어라, “미인”이라느니 “비율이 좋다”느니 은행원의 정신을 빼놓는 솜씨가 탁월하다. 적당히 능청맞게 굴면서도 순박하고 자연스러운 태도가 돋보인달까. 한마디로 민재는, 아니 임시완(28)은 첫인상의 ‘사이즈’를 훌쩍 벗어나는 사람이다.

“양경모 감독님의 전략이었다. 민재의 본색을 드러내는 장면에서, 임시완이 지닌 순진한 이미지를 바탕에 깔고 그 반전을 노리자는.” 그 말대로다. ‘원라인’의 민재는 TV 드라마 ‘해를 품은 달’(2012, MBC)의 어린 허염, 영화 ‘변호인’(2013, 양우석 감독)의 진우, TV 드라마 ‘미생’(2014, tvN)의 장그래 등 지금껏 그가 선보인 선하고 성실한 인물들과 다르다. 임시완이란 사람 자체가 그의 대표작 캐릭터들처럼 순수하고 강직할 거라 짐작한 관객에게 이 영화는 기분 좋은 충격을 안긴다. 그건 그 자신에게도 어느 정도 들어맞는 이야기다.

“착하고 우직한 인물을 연기할 때는, 나도 내가 그런 사람에 가깝다고 믿었다. 그런데 ‘원라인’의 민재를 연기하면서 알게 됐다. 캐릭터가 본래의 나를 따라오는 게 아니더라. 오히려 반대다. 어떤 작품에서 어떤 캐릭터를 만나느냐에 따라 내 성격이 바뀐다. 그래서 더 궁금해졌다. 앞으로 난 어떤 작품을 만나, 그에 따라 어떤 사람이 될까.” 그 순간, 진지하던 임시완이 장난기 가득한 얼굴로 농담을 던진다. “그만큼 줏대가 없다는 거지. 귀가 얇다고 할까. 하하하.” 그래도 쉽게 변하지 않는, 그만의 성격 같은 것이 있지 않을까. “글쎄, 다른 사람들의 말을 빌려 표현하자면, ‘진중하다’는 것 아닐까.” 거기에 ‘유쾌한’이라는 수식어를 붙이면 어떨까. ‘유쾌한 진중함’. 적어도 ‘원라인’ 언론시사 직후 만난 임시완은 그랬다. 곧 방영 예정인 TV 드라마 ‘왕은 사랑한다’(MBC)를 찍느라, 나흘 동안 네 시간밖에 못 잔 상황이었는데도 말이다.

‘원라인’ 전과 후, 그가 연기하는 캐릭터의 성격만 달라진 게 아니다. 임시완은 이 영화의 촬영장에서 ‘연기를 대하는 다른 태도’가 있음을 깨달았다. “예전에는 연기를 ‘즐기지’ 못했던 것 같다. ‘해를 품은 달’ ‘변호인’ ‘미생’ 같은 작품들에 대한 반응이 워낙 좋지 않았나. 내 연기에 대해서도 사람들이 ‘생각보다 잘하네’라고 말해 주니까, ‘아, 고생한 대가를 이렇게 받는구나’ 느꼈다. 그래서 연기는 더더욱 힘들게, 뼈를 깎는 고통을 견뎌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원라인’을 찍으면서 ‘연기하는 순간 자체가 즐거울 수 있다’는 걸 알게 됐다. 민재가 대출 사기 의뢰인을 위로하는 장면처럼, 주어진 대사 없이 어떤 상황 속에서 직접 무언가를 만들어 가며 연기한 것은 처음이었다.”

개성 넘치는 연기를 보여 준 배우들과 함께한 경험도 소중하고 즐거운 기억으로 남았다. “특히 위조 전문가 송 차장 역의 (이)동휘 형을 보면서 많이 배웠다. 동휘 형은 촬영장의 모든 요소를 연기에 활용한다. 그래서 더 ‘살아 있는’ 연기를 하는 것 같다. 그건 이전의 내가 전혀 몰랐던 부분이었다.”

임시완은 ‘원라인’에서 선보인 다양한 얼굴 가운데 “민재가 사기 대출계에 몸담은 지 1년쯤 지나, 나쁜 물도 들고 타성에 젖은 모습”을 가장 새로운 것이라 꼽는다. “예전에는 그런 모습을 보여 줄 기회가 없었으니까.” 민재의 그 얼굴이 “커다란 변화처럼 느껴지는 동시에, 그 모든 감정이 ‘진짜’처럼 느껴지는지” 끊임없이 고민했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연기와 사기엔 비슷한 구석이 있는 것 같다. 제일 중요한 점은 ‘진짜처럼 보이느냐, 가짜처럼 보이느냐’다. 그 다음은 ‘그것이 매력적으로 느껴지느냐, 그렇지 않느냐’가 성공 여부를 판가름한다. 그런 점에서 연기와 사기는 닮았다.”

더 큰 욕망에 사로잡힌 순간부터 민재는 “자제할 줄 모르면 인간처럼 안 보일 때가 있다”던 장 과장의 말을 턱 끝으로 느끼기 시작한다. “사실 세상 모든 일, 결국 살아가는 것 자체가 ‘정도의 차이’, 그 균형에 달린 것 같다.” 맞는 말이다. 그렇다면 연기에 있어 임시완이 느끼는 ‘정도’와 ‘균형’은 무엇일까. “‘이 장면에서 내가 돋보여야 해’라는 생각으로 과하게 연기해서도 안 되고, ‘과하면 안 돼’라는 생각 때문에 소극적으로 연기해서도 안 된다. 그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서 끊임없이 균형을 잡아야지.” 앞으로 더 큰 욕망에 눈이 먼 나머지, 그가 연기의 ‘정도’와 ‘균형’을 깨뜨리는 일은 쉽게 생기지 않을 듯하다.

“‘해를 품은 달’로 연기를 시작할 때 품었던 꿈은 이미 다 이뤄졌다. 그때 ‘연기를 계속하면 좋겠다’고 생각했거든. 지금 새로운 포부를 하나 더 갖는다면, 조금 추상적이지만 ‘좋은 작품을 계속했으면 좋겠다’는 것 아닐까. 그럼 그 안에서 온갖 변화를 꾀할 수 있을 테고, 그만큼 나도 더 다양한 모습을 지닌 사람이 될 테니 얼마나 좋겠나. 그보다 큰 꿈이 있을까.”

170322 vogue 2017 4月号 卷毛 性感脚踝
몸속이 투명하게 비쳐 보일 정도로 순수한 눈빛, 로맨스를 부르는 중저음 목소리, 전체 그림을 보기 때문에 배어 나오는 매너까지. 사기꾼의 ‘필요충분매력’을 두루 갖춘 두 남자, 진구와 임시완의 퍼펙트 게임.

드라마 <왕은 사랑한다>를 촬영하느라 문경, 속초, 안동, 마산 등지에서 목격되었던 임시완은 거짓말처럼 역삼동 한복판 스튜디오에 등장해 곱게 머리를 말고 있었고, 전날 제작 보고회에서 달콤한 ‘슈가남’ 이미지를 풍기던 진구는 하룻밤 사이 헤어스타일이 곱슬곱슬해졌다. 어제 만나놓고 오랜만이라며 어깨를 두드리던 진구에게 임시완은 “형님, 머리 스타일 바뀌셨네요?”라고 인사를 건넸고 진구는 “너도 바꿨잖아”라고 인사를 받았다.

진구와 임시완의 손발이 착착 맞을수록 빛날 영화는 <원라인>이다. 이들은 사기계의 멘토와 멘티로 출발해 완벽한 한 팀을 이룬다. 임시완은 돈 없는 대학생에서 사기계의 샛별로 떠오르고, 진구는 작업 대출계의 베테랑으로 진면목을 보여준다. 반질반질한 뱀이 임시완이라면, 능수능란한 능구렁이는 진구다. 예고편에서 진구는 <태양의 후예>에서 김지원에게 “너한테서 도망쳤던 모든 시간들을 후회했겠지”라고 말할 때보다 조금 더 진정성 있는 눈빛으로 말한다. “은행에서 돈 받게 도와주는 게 내 ‘잡’이야, 이게 중요한 표현이다. 도.와.준.다.” 임시완은 한술 더 뜬다. <미생>에서 이성민에게 “그래서 저는 꽃밭을 걷고 있나 봅니다”라며 꽃미소를 지었을 때보다 조금 더 싱그럽게 말한다. “제가 주는 대본대로만 하면 ‘돈’이 나옵니다”라고. 전작의 여운으로 여전히 그들의 얼굴로부터 묵묵한 사랑을 하는 남자와 미완의 청년을 읽고 있는 관객에게 씨익 웃으며 선언하는 셈이다. 작품으로 빚어진 배우의 이미지를 순순히 믿지 말라고 말이다.

“변신을 위한 선택은 아니에요. 그냥 대본을 봤을 때 그때그때 흥미로운 지점이 있었어요. 그 당시에 저를 자극하는 뭔가가 있었고 그 지점을 선택해왔던 것 같아요.” 임시완이 영화 <오빠생각> 이후 개봉을 앞두고 있거나 촬영 중인 작품은 셋이다. “<원라인>은 재기 발랄한 느낌이 있어서 마음에 들었어요. <불한당>은 자주 사용된 소재여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에 따라 재미있겠다, 참신해 보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감독님이 그 키를 갖고 계실 것 같은 확신이 있었죠. <왕은 사랑한다>의 경우는 윤아가 상대역이라는 점이 많이 컸습니다.(웃음)”

<미생> 이후 여러 작품이라는 선택지를 쥐게 되었지만, 부산대 공대생 선배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변호인> 진우 역할은 자신이 꼭 해야 한다고 양우석 감독에게 고집을 피웠다던 임시완은 조금도 달라지지 않은 듯 보였다. “제가 앞머리를 올렸을 때랑 내렸을 때 이미지가 많이 다르거든요. 변화의 폭이 넓어서 효용 가치가 큽니다. ‘실용성이 있는 배우’로 보이지 않았을까요?” ‘회사가 시켜서’ 작품을 했다며 너스레를 떨던 진구는 양경모 감독 얘길 꺼냈다. “첫인상이 워낙 좋았어요. 학자 스타일인데 이상하게 말이 진짜 잘 통하는 거예요. 글이 좋든 나쁘든, 영화 질이 높건 낮건 이 사람하고 3개월 동안 같이 놀고 싶다는 생각으로 들어갔어요. 알고 보니 K대 의대 출신이더라고요.(웃음)” 진구의 첫인상은 틀리지 않았다. “굉장히 설명 조인데 잔소리가 아니라 정말 좋은 말씀을 듣는 느낌이었어요. 디렉션이 정확하니까 연기할 때도 도움이 많이 됐죠. 날이 갈수록 새로운 발견이었습니다. 아직도 사랑합니다.”

젠틀하고 매너 있게 사기 치기 위해 극 중에서는 수백 번씩 시뮬레이션을 돌렸겠지만, 배우들이 연기하는 데 있어 치밀한 계산 과정은 없었다. “앞서 캐릭터랑 달라야겠다는 생각을 의도적으로 하지 않았어요. 위험한 생각일 수도 있겠지만 기존에 맡았던 캐릭터와 크게 차이가 없어 보일 정도로 경계선을 두지 않았어요. 처음에는 나만 잘하면 되겠구나 생각했다가 그 생각조차 자연스럽게 녹아내렸던 것 같아요.” 힘들었던 점을 묻는 질문에 임시완은 고개를 저었다. 일상과 연기에 경계를 크게 두지 않는 편이라, <원라인>을 촬영할 때는 오히려 사람들과 더 쉽게 친해지고, 더 많이 어울렸단다. “캐릭터에 대해서 진짜 얘기를 많이 했어요. 부모님과 함께 있는 장면이 있는데, 그때 민재가 진짜 모습이겠다 싶더라고요. 엄마가 용돈 하라고 만원인가 2만원인가 쥐여주는 장면이 있어요. 처음에는 차마 그 돈을 못 쓰고 들고 가는 설정이었는데, 들고 가는 척하면서 엄마, 아빠 옷에 넣어주는 게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어요. 감독님께 제안을 드렸고 결국 그렇게 갔던 거 같아요. 마냥 나쁘기 위해 나쁜 짓을 하는 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냥 그렇게, 그렇게 캐릭터를 만들어갔던 것 같아요.” 대학생 민재가 사기의 길로 들어선 건 천성이 악해서가 아니다. 돈으로 겪게 되는 문제는 타고난 환경과 사회에서 시작된다. “학생 때는 진짜 돈이 없잖아요. 용돈 받아 쓰거나 아르바이트 해서 쓰거나. 그래 봐야 얼마나 되겠어요. 돌이켜보면 저도 학교 앞에서 1,000원짜리 토스트, 짜장면으로 한 끼를 자주 때웠어요. 맥주는 정말 고급 술이었죠. 항상 소주만 마시고. 안주 많이 축내면 친구들끼리 경계를 했죠.”

진구 역시 연기에 대해 긴 설명을 덧붙이지 않았다. “감독님이 ‘그냥 진구 너 알아서 해’라고 자유를 주셨어요. 평소 제가 쓰던 말투, 걸음걸이, 손버릇 그런 외적인 부분이 많이 분출된 영화예요.” 사기 칠 때 가장 거짓과 꾸밈이 없는 모습이어야 하기에 본연의 모습이 드러나는 역설. <해를 품은 달> 이후 처음으로 잘난 외모를 있는 그대로 뽐낸 임시완의 사기 필수품 역시 ‘세상 물정 모를 것 같은 순수한 눈망울’이란다. 평소 제스처까지 캐릭터에 ‘탈탈’ 털어낸 진구를 두고 양경모 감독은 “스펀지 같은 배우예요. 하나를 이야기하면 쫙 빨아들여서 내뱉어줄 수 있는 배우”라며 뒤에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사람마다 색깔이 있다면, 나에게 진구는 거칠고 투박한 다갈색을 띤 배우였다. <달콤한 인생>부터 <비열한 거리> <마더> <26년> <명량> <연평해전>까지 그가 연기한 인물들의 잔상이 쌓인 빛깔일 것이다. 인류를 성징에 따라 일렬로 쭉 세웠을 때 남자 쪽 끝에 서 있을 것만 같은 사람. 조물주가 인간을 빚으며 처음 만들어냈을 것 같은 남자 1호. 원초적인 흡입력을 타고난 배우는 심장 끝에서 길어 올린 날것의 감정을 스크린으로 날라오곤 했다. 주연 혹은 조연 같은 역할의 크기는 의식한 적이 없었다. 진구는 흘러가는 서사의 한쪽을 늘 묵묵하고 단단하게 지키고 있었다. 물론 다 <태양의 후예> 전까지 얘기다. “잘된 작품이 거의 다 무거웠죠. 스스로는 무거운 쪽이 더 잘 맞긴 해요. 가벼운 역할을 피하는 건 아닌데 보는 분들도 아직까진 제가 무거운 역할을 하는 걸 편하게 여기는 것 같아요. 제가 잘하는 거니까. 말하자면 박인비 선수가 쇼트트랙을 한다 그러면 처음에 기대는 하겠지만 맨날 꼴등 하면 다음 대회부터는 안 볼 거 아니에요. 다시 골프 필드로 돌아갔을 때 TV를 켜겠지. 그런 거예요.(웃음)” <태양의 후예>로 진구는 제2의 전성기를 맞이했지만 사실 내가 진구를 다시 보게 된 건 그로부터 1년 전 ‘SNL’에 출연했을 때였다. 도라에몽 노진구, 여진구, 부산진구를 이글이글 질투하는 진구는 정말이지 너무 웃겼다. 도라에몽 노진구, 여진구, 부산진구를 인정한 배우라면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받아도 한결같으리라는 믿음이 생겼다.

“세상을 보는 눈이 바뀌었다고 할까요? ‘내가 아무리 열심히 해도 안되는 건 안 돼’와 ‘내가 열심히 안 해도 될 건 돼’가 함께 있어요. 물론 노력하죠. 하지만 신인 때처럼 어떤 트레이닝을 하면서 갇혀 살고 싶지 않아요. 제 배우 생활이 청년기와 장년기로 바뀌는 전환점은 <마더>예요. 최고 톱스타 원빈 선배와 최고 베테랑 연기자 김혜자 선배, 최고의 감독 봉준호, 이런 사람들과 함께 일하면서 행복한 줄도 모르고 나만 생각했어요. ‘나 오늘 잘했나? 저 사람들한테 뒤지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되지?’ 그런데 봉준호 감독님이 ‘그럴 필요 없어. 그냥 천천히 해도 너는 따라올 수 있어. 천천히 와’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렇게 했더니 그해 영화 시상식에서 조연상이란 조연상은 다 제가 받았어요. <비열한 거리> 때 노미네이트만 되고 떨어진 후로 낭패감에 상‘ 에 연연해 하지 말자’ 했는데. 정말 내 뜻대로 되는 게 없구나. 그다음부터 진짜 아무것도 안 했어요.” 아무것도 안한다는 건 몸과 마음을 백지장으로 만든다는 얘길 것이다. “예전에는 사기꾼이니까 말투를 이렇게 해야 돼, 소품은 안경을 써야 돼 같은 게 있었어요. 하지만 아무것도 안 하니 정말 편해졌어요. 지금은 어떤 옷을 입혀줘도 내 옷 같고 감독님이 손‘ 가락을 이렇게 해’ 했을 때 그 손가락이 정말 제 손가락이 되더라고요.” 비워낸 자에게 기회는 부지불식간에 찾아온다. 얼마 전, 그에게는 미니시리즈 <불야성>의 주인공 자리가 찾아왔다. 지금 받고 싶은 제안이 있다면 과거 작업했던 감독들과 재작업이다. “함께 했던 감독님들과 한 번씩만 더 찍어보고 싶어요. 나의 달라진 모습, 더 좋아진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요. 그때는 몰랐던 것들을 그분들한테 더 배우고 싶습니다.” 기회는 언제 또 어떤 얼굴로 찾아올지 모른다.

연기라고는 배운 적 없기에 백지장을 만들 필요도 없는 임시완은 또 어떤가. 연기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백지연의 피플 인사이드>에 출연했던 그는 도대체 어떻게 연기를 하느냐는 질문에 잘 모르겠다고, 무식하니까 용감한 것 같다며 머리를 긁적였다. 그의 첫 두 작품 <해를 품은 달> <적도의 남자>는 모두 아역이었다. 단 2부작이었지만 지질한 남자의 역사를 새로 썼던 <연애를 기대해>, 청춘의 자화상으로 남은 <변호인> <미생>, 비로소 어른이라는 이름으로 아이들 앞에 섰던 <오빠생각>까지. 그는 마치 한발 늦게 들어선 작품이라는 세상 속에서 캐릭터와 함께 2배속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만 같았다. 물론 재벌가 같은 비현실적 설정을 통과하지 않은 덕분도 있을 것이다. 가만가만 감정을 눌러 담아 삼키는 그의 얼굴은 처연할 때도 있었지만, 전 세계가 정전이 되어도 홀로 빛날 것만 같은 두 눈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믿게 만들었다. 반짝이는 건 언제나 마음을 움직이는 법이다. 사람들이 임시완에게 공감하게 된 건, 마음 깊숙한 곳에 비관보단 긍정을 바라는 마음이 자리하기 때문일 것이다. 윤태호 작가는 임시완을 두고 “보지 않아도 되는 지점을 보고 있는 듯한 성숙한 청춘”이라 말했다는데, 비범하게 잘생겨도 한 세대를 대변하는 얼굴이 될 수 있음을, 완벽한 자도 미완을 상징할 수 있음을 임시완은 보여줬다. 대학생이 되면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어른들의 말에 속아 공부만 했던 학창 시절을 지나, 가수로 데뷔했지만 춤으로도 노래로도 부각되지 못했던 청년은 비로소 배우라는 선명한 자아를 얻게 됐다. “연기는 지금 내 인생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어요. 할 줄 아는 게, 밥벌이가 이거밖에 없는 거죠.” 지금, 연기에 임하고 있는 임시완의 진짜 마음이다.

141201 未生拍摄时期的杂志 第一次见

모든 미생에게 전하는 힐링푸드

직장인의 애환과 고충을 현실감있게 그리며 대중의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낸 드라마 <미생>
그 중심에는 배우 임시완과 강소라가 있다.
이들과 나는 이 땅의 모든 '미생'들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완생'을 꿈꾸는 그들을 위한 홍삼 치유 요리.
대한민국 직장인의 공감과 위로

드라마 <미생>의 성공에 대박의 정석이나 불패의 공식 같은 것은 없었다. 원작인 동명의 웹툰이 큰 인기를 얻었지만 오히려 그 후광에 미치지 못해 사그라진 선례는 얼마든지 있었다. 출생의 비밀과 재벌 2세 없이 방영 3주 만에 시청률 4.7%를 넘긴 비결은 직장인들의 마음을 후벼 파는 '리얼리티' 때문이다. 바둑 프로 입단에 실패한 장그래가 처음 회사에 입사하며 겪는 어려움을 보며 누군가는 바늘로 쿡 찌르는 듯한 동변상련을, 또 누군가는 지나간 풋풋한 자신의 과거를 떠올렸다. 실력있는 '엄친아' 사원인 안영이가 맞닥뜨리는 선배들의 질시와 미묘한 성차별 상황 역시 시청자들의 큰 공감을 샀다. 드라마 <미생>에 이토록 많은 시청자가 몰입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배우들의 흡입력 있는 연기 덕분이다. 카메라 앞에서 그들은 '장그래'와 '안영이' 그 자체였다. 그간 임시완은 드라마 <해를 품은 달>, <적도의 남자>와 영화 <변호인> 등 굵직한 흥행작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며 아이돌 가수 뿐 아니라 배우로서의 입지를 다져왔고, 강소라는 영화 <써니>에서 주목받으며 이 후 드라마 <못난이 주의보>, <닥터 이방인>으로 많은 사랑을 받은 재기넘치는 여배우다. 또 <미생>은 보다 현실감을 살리기 위해 KGC인삼공사 건물 로비, 서울 스퀘어 빌딩 등 회사 건물에서 대부분 촬영하고, 서류나 사무용품 등의 소품까지 실제 회사인 듯한 착각이 들 정도로 세심하게 신경을 썼다.
드라마가 회를 거듭할수록 대한민국 직장인의 마음은 들썩였다. 마음 한구석을 짠하고 시리게 하는 명대사를 곱씹으며 자신을 돌아보고 또 위로받은 것이다.

<미생>이 첫 방영과 동시에 시청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어요. 소감이 어떤지요?
임시완 이렇게 반응이 폭발적인 이유는 그만큼 직장인과의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상의 모든 장그래에게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어요. 여러분들의 이야기가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낸 것은 '나만 그런게 아니라 모든 이들이 힘든 싦을 견디며 살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볼 기회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힘을 내시라는 말은 쉽게 못하겠지만, 마음으로 위로를 전하고 싶습니다.

더불어 시청률 3% 달성 공약이 눈길을 끄는데, 임시완 씨는 '회사 한 곳을 선정해 간식을 싸들고 직접 찾아가겠다' 강소라 씨는 '무작의로 한 회사를 선택해 치맥을 쏘겠다'거 했지요.
임시완 지난 10월 30일 한 회사를 방문해 늦게까지 야근하시는 분들을 위해 직접 간식도 드리고 말씀도 나누었어요. 환하게 웃으시는 표정을 보니 제가 힘이 된 것 같아 뿌듯했습니다.
강소라 저도 11월 7일 회사 근처 치킨집에서 깜짝 치맥파티를 열었어요. 많은 분들이 열정적으로 호응해주셔서 정말 기뻤습니다.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에서의 에너지 넘치는 모습이 인상적이네요. 피부도 무척 생기있고요.
임시완 잘 챙겨 먹기 때문인 것 같아요. 가끔 홍삼도 먹고요. 2년 전, 드라마 <해를 품은 달>을 찍은 뒤 연이어 드라마와 영화 촬영으로 일정이 무척 바빠졌어요. 처음으로 건강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된 시점이었지요. 그 때 처음으로 홍삼을 먹었는데 피로해소나 피부에도 좋고 무엇보다 체력 보강에 도움이 되더라고요.

그렇다면 두 배우의 힐링푸드는 무엇일까요?
임시완 명절마다 외할머니가 해주시는 쇠고기 탕국이요. 어릴적부터 할머니댁에 가면 제가 좋아한다고 늘 만들어두셨거든요. 생각만해도 그리운 음식이에요.
강소라 따끈한 집밥이요. 가족들과 다 같이 둘러앉아 먹는 엄마표 집밥이 최고예요.

다가오는 크리스마스는 어떻게 보내고 싶나요?
강소라 동고동락한 <미생>팀과 여행을 떠나고 싶어요.
임시완 저도 같이 가야겠네요.

마지막으로 <심> 독자들에게 전하는 인사 부탁드립니다.
강소라 처음으로 <심> 독자분들께 인사드립니다. 연말에 행복한 시간 보내시길 바라고, <미생>도 많이 사랑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임시완 KGC인삼공사의 <심>과 인연이 닿아서 정말 반가웠습니다. 끝까지 <미생> 많이 사랑해주세요. 세상 모든 미생들을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发布     👍 0 举报 写留言 🖊   
✋热门推荐
  • 可见:1、直接确诊和无症状患者划归确诊数量为234例,正呈现进一步持续收敛的态势,当前累计确诊56155例,累计出院49590例,出院者比例第9日持续保持翻转比
  • ♛千术之王♛我爸妈都是老实人,一辈子生活在农村,但是我的那个小叔,混蛋小叔,他比我大了十来岁,总是吊儿郎当的,总有花不完的钱。♛千术之王♛我爸妈都是老实人,一辈
  • 这家卖手抓饼的特别火,你看这队排的,估计要等上半个多小时...她笑了几声,自豪的说道:“看我的!#爆笑吐槽#1、昨晚娃和小小班同学在小区玩了好长时间才愿意回家,
  • 不听,不看,不说[抱一抱][抱一抱][抱一抱] | 海风•是一整个夏天的浪漫气息-最近爱的限定香气 / Paula’s lbiza 伊维萨岛的滨海假日-中性香
  • 2. 아빠랑 오빠가 면도하는게 재밌어 보여서 따라했는데*따라하다 跟着 3. 그 후로 점점 굵게[굴께] 자라기 시작하더라고. *굵다[국다] 읽다[
  • #越被爱越可爱# 第四弹森森给我买的粉色头盔 一起吃小龙虾 每一弹必须要有小猫咪出现 饭后再吃个臭豆腐 去喝蜜雪冰冰送给我们的小饼干和牛轧糖 汴梁徐先生家的炒酸
  • 屏蔽喧嚷,远离都市,只是形式上的隐士,而置身于喧嚣也能淡然处之,才是精神层面隐者。 In'Sense Resort根据高端打造,它不是闹市的酒店,肆意繁华,它是
  • 身上的医用零件慢慢卸去,我又像个没事人和男友外出逛街,等到护士站打电话我们才会匆匆回去,因为医院已经没有任何项目了,只是有几个时间点需要配合一些检查看看恢复情况
  • 弟弟却笑着看着妈妈说,没事,我就是喜欢这样抱着姐姐……梦醒不知道为什么,总是做这样稀奇古怪的梦,微博里记录的,是最近两次的梦,以前也有很多梦,有时是醒来就迷迷糊
  • 别说明天,别说来生,就在此时此刻,做一个深情的人,爱在心上,笑在脸上,珍重彼此,感恩每一次遇见,好好地说声再见。曾经,路过的美好风景我会积攒在心,曾经,读过的书
  • #凹凸曼打怪兽[超话]#权志龙亚洲【首位】 全球形象大使高定头牌常客【十二】次出席香奈儿大秀 【六次】出席高定高定秀场赌桌亚洲【唯一】男星 香奈儿官网亲封【-】
  • 穆芊芊望着男人深不可测的眼神,才后知后觉意识到这个男人已经不再是他的容哥哥,而是不容忤逆的帝王。  她平海寇,定南疆,远征牧北,终于换来了大昊安宁,可也断送了她
  • 鞋子、包包的质量都超级赞,只推荐好的货给大家!主营鞋子和包包质量都超级赞,只推荐好的货给大家!
  • 就你最后说的那些话,我和你解释后,你还揪着“我都在评论里署名了,我不明白你的点”不放,还就这个话题断章取义的截图发微博,内涵我错怪你“不回复”?3.回复的时间如
  • ▹还有被人留在街边的小鸭子,黄绒绒的毛摸着就很舒服,后来被楠楠带回家收留了[抱一抱]▹去了音乐节却没有想象中嗨,人很多但好像大家不怎么蹦得起来,我归结于是场子里
  • 但依然要注意不过多叠加以避免刺激。油敏往往源于:脂溢性皮炎、玫瑰痤疮。
  • ”身为富家女的她,轻声提问,不知道有多想哭。”身为富家女的她,轻声提问,不知道有多想哭。
  • 因为一个品牌,一旦植入了一个非常强大的文化原力,再通过后期的品牌传播,让品牌和文化原力之间形成强关联,一提到该品牌,就能瞬间想到该文化原力。所以,做品牌策划,最
  • #淄博爆料##淄博开锁#淄博顺风开锁是淄博市公安局备案、工商局注册许可、正规开锁公司,24小时上门,专业防盗门开锁,保险柜开锁,汽车开锁,专业配门禁卡,各种钥匙
  • TAB是take a break 这句的第一字。咖啡店名叫TAB coffee bar탭커피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