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225 w korea 躺着 脚踝 https://t.cn/A6YOEdlZ
송강호나 이성민 정도의 내공일까?
그게 나의 유일한 경쟁력인 것 같다. 연기를 제대로 배운 적은 없지만, 현장에서 좋은 선생님들을 만났다는 건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다. 그런 경험을 했던 내 또래 배우가 많지는 않은 것 같다.
배우로서의 연예 생활과 아이돌 그룹 멤버로서의 활동이 부딪칠 때가 있을 것 같다.
그 기간이 겹치면 혼란을 많이 겪는다. 연기를 할 때는 최대한 그 캐릭터에 초점을 맞추고 집중하는데, 그럴 때는 그 캐릭터인 채로 무대에 올라가는 것과 마찬가지다. <변호인> 때도 그래서 많이 고생했다. 자신이 없지만 괴리감을 가진 채로 하는 수밖에 없다.
아이돌보다는 배우로 남게 될까?
사람 일이란 한 치 앞도 알수가 없는 거고, 시간이 지나 전혀 다른 일을 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굳이 생명력으로 따지자면 아이돌은 수명이 아주 길진 않을 거다. 물론 많은 분이 아이돌로서 계속 찾아준다면 오래갈 수도 있겠지만 보통의 경우 아이돌의 수명은 한계가 있으니까. 연기 쪽으로는 나이의 폭이 넓은 편이니 먼 훗날 아저씨가 되어서도 할 수 있는직업이 있다면 연기쪽이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미생>에는 피와 살이 되는 아포리즘이 많이 등장했다. 각별히 기억에 남는 대사가 있나?
오 차장님의 대사 중 "기회에도 자격이 있다"는 얘기가 나에게 크게 와 닿았다. 장그래가 차장님에게 "기회를 주실 수 있는거 아닙니까?" 하고 대들 때 돌아온 대답이다. 나는 자격이 없음에도 좋은 기회를 누려왔고, 그런 기회가 없었다면 지금의 나는 없었을지도 모른다.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불특정 다수에게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게 현실일 것 같아 그 말이 슬프기도, 안쓰럽기도 했다.
스스로 자격이 없었다고 생각하나?
연기를 처음 시작할 때 그야말로 맨땅에 헤딩했으니까. 나는 애초부터 연기를 제대로 배운 사람이 아니니까 기회에도 자격이 필요했다면 <해를 품은 달>을 만날 수조차 없었을 거다. 배움을 많이 갖추고 제대로 준비된 사람에게 기회가 갔을 거고.
연기란 특수한 분야니까. 언제나 원석을 알아보는 사람도 있고.
연기가 특수성이 있는 분야라면 그 특수성의 혜택을 많이 받은 사람이 바로 나다.
신뢰받는 젊은 배우가 되었다. 앞으로는 무엇을 더 보여주고 싶은가?
나를 믿을 수 있다고 누가 그러던가? 섣부른 생각일 수 있다고 전해주기 바란다(웃음).

W Korea 150225
검은색 배낭을 멘 임시완은 매니저 없이 스튜디오에 혼자 들어왔다. 준비 중인 스태프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눈을 맞추며 고개 숙여 인사하고는 포토그래퍼가 키우는 커다란 래브라도 리트리버의 머리를 쓰다듬은 것까지 잊지 않고 챙기는 그에게서 이른 아침 출근한 신입사원의 공손함과 싱그러움이 풍겼다. 목에 출입증을 걸고 있지 않고, 인사말이 "안녕하십니까" 대신 "안녕하세요"였다는 점은 장그래와 달랐지만. <미생>이 끝난 직후부터 약속된 그와 더블유의 촬영은 한달 전 한 차례 연기된 적이 있다(그날 그는 '토익 시험을 봐야하기 때문에 시험이 끝난 날 오후가 좋겠다'고 날짜를 정했다).
드라마의 여운이 다소 가라앉은 2월의 어느 날 드디어 임시완을 만났다. 토익 성적은 비밀이었다.
오늘 촬영은 어땠나?
예쁜 척하는 콘셉트가 아니라서 좋았다. 내가 그런 건 좀 오글거려하는 편이라서.
'예쁜 척하는' 사진을 더 좋아하는 팬들도 있긴 할 거다.
어떤 촬영은 이런 걸 어떻게 볼까 싶은데 의외로 좋은 반응을 얻더라. 취향의 다양성을 존중해야겠지만. 이번에는 신경쓰지 않고 하고 싶은 대로 해도 돼서 편했다.
지난해 말 <미생>이 종영한 이후의 시간은 어떻게 보내고 있나?
영어 공부 좀 하고, 해외여행도 갔다 왔다.
토익 시험을 치뤘다던데, 점수는 잘 나왔나? 굳이 시험을 볼 필요는 없을 것 같은데.
점수는 노코멘트다(웃음). 외국인 친구가 있어서 그 친구를 영어 선생님 삼아 자주 만나서 밥 먹고 술도 마시고 그런다.
여행은 체코로 다녀왔던데, 거기로 떠난 특별한 이유가 있었나?
친한 형이 제안해서 갑자기 가게 됐다. 체코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한 채로 떠나는 여행이었다. 가기 전날에야 부랴부랴 알아보고 비행기 안에서 책 읽고 그랬다. 여행 전에는 드라마 찍느라 하지 못했던 스케줄을 해결하고, 또 여행 다녀오기 위해서 뺀 일주일 정도의 시간을 충당하기 위해서 많이 바빴다. 그러다보니 예습을 충분히 못한 상태로 떠났다.
원래 내 여행 방식은 사전 조사를 충분히 하고 일정을 시간 단위로 정해서 구글맵에 입력해두고 미리 모의 경로까지 답사해보는 스타일이다.
공대생답다. 하지만 계획 없이 움직이는, 변수가 많은 여행도 재밌지않나?
공대생들이 그러나(웃음)? 아무튼 원래는 꼼꼼하게 플랜을 짜서 움직이는 스타일인데 전혀 그러질 못해서 걱정을 많이 했지만, 재밌게 다녔다. 프라하가 물가도 싸고, 도시도 아름다웠다.
알아보는 사람이 없어서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다는 점도?
물론이다. 외국에 나가면 나는 평범한 한 명의 아시안일뿐이니까(웃음).
<미생> 얘기를 시작해보자. 그 드라마에서 빠져나오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았을까 싶다.
그렇지 않았다. 오히려 빨리 벗어나고 싶은 마음이 컸다.
이유가 뭘까?
압박감과 책임감이 컸기 때문이다. 예상 외로 폭발적인 반응을 받았기 때문에 책임감의 무게가 상당했다. 중반 즈음부터는 즐기지를 못했던 것 같다. 빨리 마무리하고 얼른 벗어나고 싶었다.
영화와는 다르게 촬영 중간에 실시간으로 반응이 오는 드라마의 차이겠다.
그래서 긴장감을 놓을 수 없었다. 영화는 다 찍고 나서 한참 뒤에 결과를 알게 되니까, 그게 관객 수든 아니면 평론이나 사람들의 평가든 편한 기분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반면에 드라마는 찍는 중간중간 반응을 접한다. 그런데 또 거기에 휩쓸려 영향을 받지 않게 중심을 잘 잡고 있어야 하기도 하고, 그런 작업이 쉽지 않았다.
흔들리지 않게 중심을 잡게끔 도와준 건 어떤 요소였나?
나보다 더 뛰어난 선배, 동료 배우들의 연기에 대한 열정, 스태프와 감독님 등. 그들의 열의에 잘 따라가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다.
독립영화나 연극 무대에서 탄탄하게 경력을 쌓은 배우들과 함께 연기하면서 배운 점이 많을 것 같다.
하다못해 작은 단역까지도 연기에 대해서는 일가견이 있는 분들이었다. <미생>에서는 정말, 나만 잘하면 됐다. 경력도 짧고 연기 시작한 지 얼마 안된 내가 가장 불안한 요소였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연기하니까 도움을 많이 받고 시너지도 생긴 거 같다.
지나친 겸손의 말로 들린다.
<미생> 촐영이 끝나갈 즈음에 이성민 선배님이 말씀하신 게, 이제 앞으로는 더 겸손해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겸손했다 치더라도, <미생>이라는 드라마가 너무 잘됐기 때문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받아들여서 더 겸손해져야 한다고. 나는 평상시처럼 행동하더라도 제삼자 입장에서 보면 그 모습조차 불편하게 느껴지거나 이유 없이 미운 털이 박힐 수도 있다는 얘기였다. 그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아 있다.
이미 충분히 예의바른데, 앞으로 계속 성공하면 더 겸손해질 데가 없겠다. 이성민 씨 얘기는 연기보다는 연예인으로서 어떤 태도를 가지라는 조언 같기도 한데.
<미생>에는 '연예인'이라 할 만한 사람은 없었다. 연기인, 배우라는 호칭이 어울리지 연예인이라기엔 다 어색한 분들이었다. 그건 <변호인>때도 그랬지만, 뭐랄까 굉장히 농도가 진한 에너지를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었다.
그러고 보면 오 차장 역의 이성민 씨와는 <변호인>에도 함께 출연했다. 같이 연기한 장면은 없었지만 재미있는 인연이다.
딱 한 장면에서 부딪혔다. 송우석 변호사의 동창인 기자로 나온 이성민 선배가 국밥집에서 그와 싸우는 장면이다. 송강호 선배의 팽팽하게 맞서는 그 모습을 직접 눈으로 보면서 에너지가 대단하다는 걸 느꼈고, 같이 연기해보고 싶었다.
이성민, 송강호 등 경상도 출신의 선배 세대 배우들은 사투리를 자연스럽게 자신의 말투로 녹여 연기한다면, 당신은 사투리 연기를 할 때와 표준어를 구사할 때가 분명하게 나뉜다. 사투리를 고치는 데 애를 먹지는 않았나? 많은 경상도 출신 남자들은 '간지럽다'는 이유로 서울말을 배우지 못하거나 하지 않는다.
처음부터 어렵지 않았다. 혼자 올라와 아무도 모르는 곳에서 서울 생활을 시작했기 때문에 그랬을지도 모른다. 만약 아는 사람 앞에서 갑자기 쓰기 시작했다면 나도 부끄러움을 느꼈을 거다. 지금도 가족이나 친구를 만나면 부산말을 쓴다. 일할 때 서울말을 쓰는 나와 자연스럽게 분리 된다.
가족을 떠난 독립, 서울살이, 연습생 생활 같은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겪었다. 힘들지 않았나?
오히려 재밌었다. 고등학교 때는 '대학 가면 마음대로 놀 수 있다'는 어른들 이야기를 믿었는데, 막상 대학생이 되니 고등학교 4학년 같았다. 공부에 지칠 즈음 일을 시작했는데 일단 혼자 독립한다는 해방감도 들고 여행하는 기분이 들기도 해서 재미있었다. 7년 정도 지난 지금 이제는 많이 자리 잡은 것 같다. 서울 생활이 더 익숙하고, 가끔 부산 집에 가면 주변이 바뀌어 있는 게 낯설기도 하고, 그래도 부산 사람을 만나면 여전히 반갑다.
일 외에 취미는 뭔가?
축구 프리미어 리그 보는거 좋아한다. 프라하에 갔을 때도 아스날이랑 첼시 경기가 여행 기간 중 영국에서 있다고 해서 보러 갈까 진지하게 고민했다. 딱히 응원하는 팀은 없는데 축구 게임을 할 때 자주 고르는 팀은 FC바르셀로나. 이길 확률이 높으니까(웃음).
연기를 겸업하는 아이돌이 많지만, 당신은 배우 이미지가 더 강한 것 같다.
연기하는 다른 아이돌에 비해 아이돌 활동으로서는 크게 두각을 보이지 않아서 그럴 거다(웃음).
무대에서 춤추고 노래하는 일이 단시간에 끼를 보여줘야 한다면, 연기에서는 좀 더 긴 호흡, 지구력 같은 자질을 요구한다는 얘기를 한다. 당신은 후자 쪽이 더 맞는 셈인가?
적성에 맞는 건 연기 쪽인 것 같은데, 지금으로서는 주어진 것들을 열심히 하는 것뿐이다. 가리지 않는다.
한 마디 한 마디 모범생 같다.
그런가? 원래 요행을 바라지 않는 편이긴 하다.
중고등학교 때부터 연습생 생활을 하며 준비하는 아이돌이 많은 요즘 추세에 비해 데뷔가 상당히 늦었다.
내가 늦게 시작하긴 했다. 데뷔한 때도 이미 적은 나이가 아니었기 때문에 조금만 더 일찍 시작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는 정상적으로 고등학교를 마치고, 대학 생활도 1년 경험하고 나서 연습생을 하게 된 거에 후회하지 않고 있다. 다양한 경험을 쌓아봤다는 점에서도 그렇고, 출발이 늦었다고 해서 마냥 늦는 건 아니라는 걸 일하면서 깨달았다. 한 갈래의 길을 한 가지 방식으로 가는 걸로만 인생이 정해져 있는게 아니구나 하는 걸 이젠 알게 되었다. 공부가 인생에서 크게 중요하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하지만 내가 나중에 자식을 낳으면, 그 아이가 다른 일을 선택하더라도 공부를 마치게 하고 싶다. 적어도 고등학교는 끝내고 대학교 입학을 하고, 그리고 좋으면 졸업까지도. 공부와 상관없는 다른 일을 해도 좋지만, 인생에 책임을 가진다는 면에서 내 욕심은 그렇다.
공부가 중요하지 않다는 건 공부를 잘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얘기 아닌가?
공부는 정말 인생에 필요가 없는 부분이다. 하지만 확률적으로 얘기하면 공부를 잘한 친구한테는 뭔가 다른 일을 맡겼을 때도 잘해내겠다는 믿음을 주는 부분이 있다. 어떻게 보면 혜택을 받는 셈이다. 나 스스로도 공부를 더 잘했으면 어떨까, 열심히 해놓을 걸 하는 생각을 한다.
부산대 공대 출신인데 그만하면 충분히 잘한 것 같다. 혹시 학업을 마치지 못한 데 대한 아쉬움이 있나?
약간은 있다. 우연히 좋은 기회가 찾아와서 선택받고 이 직업을 갖게된데 대해서는 감사하게 생각하지만.
원래 연예인 지망이 아니었나?
전혀 아니었다. 끼도 없었고, 연예인이라고 하면 '티브이에 나오는 사람들' 정도로 알 뿐 가수, 배우, MC, 코미디언 등으로 세분화된다는 개념조차 없을 정도로 관심이 없는 축이었다. 우연히 가요제에 나갔다가 지금 회사랑 계약을 하게 됐다.
우연치고는 상당히 잘 풀린 것 같다. 드라마 <해를 품은 달>, 그리고 영화 <변호인>과 <미생>까지 깊은 인상을 남겼다.
다행히 좋은 기회가 여러 번 찾아왔다. 그 운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모르겠다. 여기서 멈출 수도 있고(웃음). 실력인지 아닌지는 앞으로 더 봐야 할 거 같다.
당신이 <미생>의 장그래 역할로 캐스팅된 데는 어떤 점이 작용했다고 생각하나?
프리퀄 때 장그래 역을 맡았기 때문에 그게 연이 됐을 거다. 아마 나에게서 완성되지 않은 사회 초년생의 모습을 봤던 거 같다. 뭔가 열심히 하려고는 하는데 막상 가진 건 많이 없는 불완전한 모습 아니었을까?
장그래 캐릭터에 대해서는 어떤 해석을 가지고 연기했나?
내 모습과 많이 닮았다고 생각했다. 데뷔하면 다 이루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사회에 내던져지면서 진짜 경쟁이 시작되더라. 나라는 존재는 참 작고 부족한데, 막연하게 뭘 해야겠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뭔가는 해야 하고... 그런 장그래의 절박함이 데뷔 직후의 나와 맞닿아 있다고 느껴서 제대로 표현하고 싶었다.
극 중에서 서로의 성장을 지켜본 입사 동기를 연기한 배우들과도 각별한 정이 들었을 것 같다.
요한이 형 같은 경우는 연기적으로 내가 하기 힘든 경지에 가 있다. 한석율이라는 캐릭터 자체가 정말 표현하기 힘들고도 중요한 인물이었는데 그걸 성공적으로 잘해내서, 대단한 사람이구나 싶었다. 소라랑 하늘이는 연기도 연기지만 자기 관리를 엄청나게 하는 친구들이다. 하늘이는 드라마를 찍는 동안에 영화 촬영과 연극 연습도 같이 하면서 스케줄이 바빴는데도 힘든 내색 전혀 없이 늘 밝은 모습이었다. 나보다 동생들임에도 배울 게 많았다.
"연기가 무엇인지 굳이 알고 싶지 않다. 오히려 아는 순간부터 틀이 생길 것 같은 두려움이 있다." 2년 전 더블유와 했던 인터뷰에서 이런 얘기를 했다. 지금은 어떤가?잘 모르는 건 마찬가지다. 연기에 대해 달라진 생각이 있다면... 사실을 다루는 직업이라는 거다.
특이한 관점이다. 대개는 감정을 다루는 직업이라고 하는데.
사실적인 감정을 다루는 직업이니까. 사실처럼 느껴지게 하는 게 어려운 것 같다. 진짜를 보여주가나 혹은 가짜임에도 진짜처럼 보일 수 있는 가짜를 보여줘야 한다. 내가 가짜더라도 보는 사람이 진짜로 느낄 수 있다면 대단한 내공이지 않을까. 그런 건 없을 수도 있고.

우리의 명절과 기념일 |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풍속
原创 길림신문 朝闻今日 2024-02-24

정월대보름(원소절)은 상원절, 작은 정월, 원석, 등불절이라고도 하는데 시기는 음력으로 정월 15일이다. 옛사람들은 밤을 ‘소(宵)’라고도 불렀다. 정월대보름은 음력으로 새해에 들어서서 처음으로 둥근달(만월)이 뜨는 밤이다. 하기에 사람들은 정월대보름을 ‘원소절’이라 부른다. 정월 대보름에는 관등 풍속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정월대보름을 ‘상원절’이라고도 부르는데 그것은 도가의 삼원설에 의한 것이다. 상원은 도가에서 말하는 ‘3원(三元)’의 하나이다. 1월 15일은 상원이고 7월 15일은 중원이며 10월 15일은 하원이다.     정월대보름의 형성에는 오랜 과정이 있는데 이는 민간에서 등불을 켜고 복을 기원하는 풍습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자료와 민속 전설에 따르면 정월대보름은 서한시기에 이미 중요시되였지만 정작 전국의 민속 명절로 자리잡은 것은 한나라와 위나라 이후였다.
 정월대보름 연등(燃灯) 풍습은 동한의 한명제 때에 시작되였으며 그 흥기는 불교의 전파와 직접 관련된다. 한명제는 불법을 숭상하여 정월대보름 부처가 신으로 변한 날에 등불을 켜도록 명령하였다. 이것이 바로 ‘연등표불(燃灯表佛)’이다. 그후 정월대보름에 등불을 켜는 풍습은 궁정에서 민간으로 퍼져 매년 정월대보름에 누구나 등불을 켜야 했다.     당나라 때부터 등불놀이는 법으로 규정되였다. 정월대보름에는 주로 등불 축제, 꽃등 흔상, 탕원 먹기, 원소 먹기, 불꽃놀이 등 행사가 있었다. 또한 많은 지방에서는 정월대보름에 룡등놀이(游龙灯), 사자춤, 양걸춤, 북춤 등 놀이가 있었다. 2008년 6월에 정월대보름 축제는 두번째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되였다.
정월대보름에 중국의 남방 사람들이 탕원을 먹고 북방 사람들이 원소를 먹는다면 우리 조선족들은 그 날에 오곡밥이나 약밥을 먹는다. 찹쌀, 수수, 팥, 조, 보리쌀 등 다섯가지 곡식을 섞어 만든 밥을 ‘오곡밥’이라 하고 찹쌀을 쪄서 대추, 밤, 기름, 꿀, 간장, 잣 등을 넣어 함께 버무린 것을 ‘약밥’이라 한다.     그리고 정월대보름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귀밝이술(耳明酒)’이다. 보름날 이른 아침에 소주 한잔을 데우지 않고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고 하여 먹는 술을 ‘귀밝이술’이라 한다. 
대보름 행사들로 달맞이, 윷놀이, 연날리기, 소밥주기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달맞이에 대해서만 간단히 언급한다. 오후 달이 뜨기 전에 사람들은 홰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가 달을 맞으며 소원 성취와 행운을 빌고 풍년을 빌었다.     대보름이면 농사에 수고를 많이 하라는 뜻에서 소에게도 밥과 나물을 만들어주지만 낮에 개에게 밥을 주면 안된다고 하기에 개는 해질 때까지 진종일 굶어야 하였는데 이리하여 ‘개 보름 쇤다’는 속담이 생기게 되였다.


发布     👍 0 举报 写留言 🖊   
✋热门推荐
  • 我希望你能看到令你惊叹的事物,我希望你体会从未有过的感觉,我希望你遇见具有不同观点的人,我希望你的一生能让自己过得自豪。就像你曾经说过“女孩子还是强一点好”我相
  • 这本书分为三章,第一章是思乡之情,第二章记述了草木情怀,第三章记录了养猫咪的日常,第四章回忆故人的往事,可能因为作者朴实的文笔,可以让我们深刻的感受到了生命的悲
  • 不信但看宴中酒,杯杯先敬富贵人。世人结交需黄金,黄金不多交不深,纵令然诺暂相许,终是悠悠路行心。
  • 基于2021年上半年业绩的出色表现、全球经济持续向好的态势,以及化学品业务领域和材料业务领域收益预期的大幅提升,巴斯夫2021全年展望调整如下:与之相对的是,“
  • 】一行公园早6点音响扰民 已办理 环保 咨询H***2022-03-08 14:58 一行公园每天早上6点就开始有个团伙跳舞,放着很大声的音乐,年前有一个团伙
  • “FAST多科学目标巡天已经发现至少6例新快速射电暴,正在为揭示这一宇宙中神秘现象的机制、推进这一天文学全新的领域做出独特的贡献。未参与此项研究的美国伊利诺伊大
  • 10.乍见心欢,小别思恋,久处仍怦然。4.三更梦醒,你是檐上落下的星。
  • 市城市排水设施管理处紧盯目标任务,抢抓天气晴好的有利时机,在抓好安全施工的同时,以高质量、高标准、严要求全力推进工程建设,于10月21日夜间抢先完成东侧开挖段管
  • 肯尼亚国际关系问题专家卡文斯·阿德希尔认为,得益于中国推动的资本流动、技术和知识转移,非洲大陆实现碳中和的进程正在加快。随着云计算、移动互联网、大数据等技术的普
  • 他自己在摇着那个菩萨,我们都晓得他是真成就的,真有见地,就凭他这一句话,对我们笑,喂!他说一个真正得道的人,佛经上讲,一得了道,他就现出来大丈夫相,就有特别的相
  • 刷b站首页给我推到这个博主每次看到这类传达 我总是忍不住想点进去 又害怕点进去想点进去是因为我永远有强烈而汹涌的同理心“无用”且酸涩不敢点进去是因为 我总是回避
  • 在新综艺《萌探探探案》中,赵雅芝更是再次换上了白素贞的造型,虽然让观众们感到十分的惊喜,但是这明显吃老本的行为,真的是让人十分的不满了。(3)赵雅芝的角色很经典
  • 现在又看到了檀健次的戏 这就是命中注定的缘分哈哈哈!记住了歌词 周末就回去把这首歌搜出来狠狠循环了 然后我一看这个组合不就是我小学一直听的《这次,真的是你不对》
  • 冬天就要彻底凋零了,但真的不甘就这样消失啊,于是用最后一丝力量也要在冬里哑着无声的花语呼喊一下吧“我想要唱东边的呢喃 也想要踩西边的海岸 我想靠近南边的温暖 这
  • 省医保局结合近期定点医药机构协议签订工作情况,依据国家新增谈判药品落地相关文件精神,印发《关于公布2020年度新增省级定点医药机构名单的通知》适当调整增加门诊特
  • 出门后问我,说吧,想去哪里..我也不知道,带我去买好吃的吧[偷笑]你就老实说,你看中什么了,带你去买.哈哈哈哈,我真没有看中什么,但是你真的要用钱打发我,带我买
  • 更离谱的是秋瓷炫还突然哽咽了起来,不得不让人怀疑[思考]但知道秋瓷炫哽咽的原因后,确实让人没想到,只见秋瓷光一身灰色T恤,红光满面,皮肤白皙紧致,好状态分分钟拥
  • 主持人:一直以来,占道经营、出店经营是群众投诉的热点,据我所知,我市的新一轮创建已经开始,对于占道经营,出店经营的管理我们城管部门下了很大的气力,请宫局长简要的
  • Huang sheng è molto lungo, ma mi piacerebbe essere UN po' di luce nel tuo Xinghe
  •   二、由于疫情原因,设置摊点应该保持3米安全距离并配备消毒用品,从业者应佩戴口罩并劝导购买者佩戴口罩,有序排队且保持一米距离,推荐使用电子扫码支付,摊点设置者